반응형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결합으로 항염증 효과가 두 배

커피를 좋아하시나요? 그럼 아메리카노와 라떼 중 어떤 커피를 더 좋아하시나요? 저는 평소에는 아메리카노를 즐겨 마시지만, 좀 더 여유로운 마음을 갖고 싶거나 느긋하게 커피를 마시며 시간을 보내고 싶을 땐 라떼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 마디로 아메리카노와 라떼를 모두 좋아하고 즐겨마신다는 얘기인데요, 종종 주변에서는 아메리카노는 너무 써서 우유를 첨가한 라떼를 마신다는 분들도 계시고, 커피는 원두의 쓴맛과 고소한 우유의 부드러움의 조화가 진리라고 주장하는 라떼 애호가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또 성인 여자분들 중에선 뼈 건강과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하루 한 잔의 우유를 마셔야 좋다는 걸 알고 있지만, 따로 우유를 섭취하기는 쉽지 않아 커피를 마실 땐 이왕이면 라떼를 마신다는 분들도 본 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각각의 이유로 라떼를 좋아하시고 즐겨마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이런 분들께 기분 좋은 소식이 될 만한 기사가 있어서 공유하려고 합니다. 바로 커피에 우유를 넣어서 함께 마시면 항염증 효과가 두 배로 증가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 그 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유가 들어간 커피는 우유가 들어가지 않은 커피보다 항염증 효과가 두 배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커피 속 항산화제인 '폴리페놀(polyphenols)'이 우유 속 '단백질'과 결합하면 항염증 효과가 두 배가 된다는 것이다.
마리안 니센 룬드 덴마크 코펜하겐대 식품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수의학과, 동물과학과 연구팀과 동동으로 진행한 결과를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에 2023년 1월 30일 게재했다.
'몸속 염증 청소부'라 불리는 폴리페놀은 대표적인 황산화물질로 씨앗, 과일, 향신료, 콩과 식물, 채소 등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자연 발생 화합물이다. 체내 세포를 공격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해 몸속 염증을 예방하고 DNA와 세포를 보호한다.
레드와인, 맥주, 커피도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데, 커피 한 잔의 항산화 능력은 비타민C 300~590㎎의 항산화 능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폴리페놀의 생체 흡수율은 매우 낮아 일부만 흡수되고 나머지는 소변으로 배출된다. 체내에서 얼마나 흡수되는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연구팀은 폴리페놀과 단백질의 결합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세포에 인위적으로 염증을 유발시킨 뒤 일부에는 아미노산과 폴리페놀을 섞어 투여했고 나머지 면역세포에는 동일한 용량의 폴리페놀만 투여했다.
그 결과 폴리페놀과 아미노산 조합으로 처리된 면역세포가 폴리페놀만 첨가된 면역세포보다 염증과 싸우는데 두 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커피에 우유를 넣어 실제 테스트한 결과 커피 속 폴리페놀과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항염증 효과가 늘어난 사실을 확인했다.
마리엔 룬드 교수는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항염증 반응은 굉장히 빨리 일어났다"며 "마찬가지로 단백질로 구성된 다른 식품에 과일 또는 채소를 결합했을 때 유익한 항염증 반응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혀다. 예를 들어 야채에 고기를 곁들이거나 스무디에 우유나 요거트를 첨가하면 비슷한 항염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일반적으로 폴리페놀은 흡수율이 높지 않은 만큼 연구자들은 풀리페놀의 체내 흡수를 개선하기 위해 단백질과 함께 캡슐화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출처 <동아사이언스>
커피에 우유를 넣어만드는 라떼. 이미지출처&gt;프리픽

또한 우유가 좋다는 내용은 알겠지만, 우유를 마시면 체내 유당불내증(유당분해효소 결핍으로 우유를 소화하지 못하는 증상) 때문에 오히려 속이 불편하거나 채식위주의 식단을 선호하여 유제품은 아예 섭취하지 않는 분들도 계신데요, 이런 분들께는 두유나 아몬드밀크를 첨가한 라떼를 추천합니다. 두유는 우유에 못지 않게 풍부한 단백질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아몬드밀크는 우유에 비해 단백질 함량은 낮지만 칼로리가 적어 다이어트 때문에 라떼를 멀리하셨던 분이라면 가벼운 칼로리로 맛있는 라떼를 드실 수 있답니다. 그럼 오늘도 건강하게 맛있게 행복하게 라떼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