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커피의 열매 , 커피 체리 >

1. 커피 열매의 구조

    - 커피는 커피 체리라 불리는 열매에서 시작됩니다. 커피 체리는 식물학적으로 과육이며, 형태학적으로 핵과에 속합니다. 열매의 색깔이 녹색에서 서서히 붉은색으로 변하여 완정히 익어 외관상 버찌와 닮게 되는 시점에서부터 커피 체리라 불리게 됩니다.

  • 외피 (Berry Skin) : 열매의 가장 겉면의 껍질로, 생두와 과육을 감싸고 있는 붉은색 껍질.
  • 과육 (Pulp) : 과일의 과육 부분으로 생두를 둘러싸고 있는 2mm 정도 두께의 점액질층으로, 끈적거리며 단맛이 남.
  • 내과피 (Parchment) : 생두를 싸고 있는 단단한 층. 보통 생두를 보관할 시, 이 파치먼트의 상태로 보관하게 됨.
  • 은피 (Silver Skin) : 생두를 싸고 있는 얇은 은색 막.
  • 생두 (Bean) : 은피 안에 있는 커피의 종자 즉 씨앗.
  • 센터컷 (Center Cut) : 생두의 중앙에 안으로 말린 형태의 컷팅 자국.

 

  • 커피 체리, 15~17mm 크기, 초록색 → 빨간색
  • 가지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이 먼저 성숙
  • 외피, 과육, 파치먼트, 생두, 싹으로 구성
  • 한 개 체리에는 2개의 씨앗 (생두)이 들어있음
  • 생두는 실버스킨 + 노란색의 파치먼트 (껍질) 보호
  • 파치먼트 상태로 심어야 싹이 올라옴
  • 하나의 시앗이 들어있는 체리 (=Peaberry 피베리)

2. 커피 꽃과 잎사귀

① 커피 꽃

  • 흰색, 재스민 + 아카시아 향
  • 뾰족한 모양, 3~7일 정도 개화
  • 암술 1, 수술 5, 꽃잎 5장
  • 수정 후 소멸
  • 아라비카 (자가수정), 로부스타 (타가수정)

② 잎사귀

  • 일반적으로 두껍고 광택이 있음
  • 아라비카 (폭이 좁고 길이가 길다) , 로부스타 (폭이 넓고 둥근 형태)

3. 커피 품종

  • 다년생 상록 쌍떡잎 식물 

      - 꼭두서니과 (Rubiaceae) 에 속하는 상록수, 열대성 상록교목입니다. 커피 나무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다른 식물들의 잎에 비해 두껍습니다.  잎 표면은 광택이 나며 짙은 녹색입니다.

  • 원산지 :  에티오피아
  • coffea arabica, coffea canephora = robusta
  • liberica는 상업적 가치 하락으로 비활성화됨
  •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의 온화한 기후 지역에서 재배

        - 커피 나무는 남위 25º 부터 북위 25˚ 사이의 열대, 아열대 지역인 지역에서 재배됩니다.

  • Coffee Belt 또는 Coffee Zone
  • 기후, 토양이 가장 중요한 요소

① 아라비카 품종

  • 에티오피아 원산지, 세계 커피 70% 차지
  • 연평균 15~24℃, 해발 900~2,000m 고원지대에서 주로 생산
  • Drain (배수)이 용이하고, 미네랄이 풍부한 화산재 토양(테라로사)에서 잘 자람 (독일, 프랑스, 아프리카)
  • 세계 최고급 커피를 만드는 품종, 풍부한 아로마, 신 맛
  • 면연력이 약해서 커피 녹병에 쉽게 감염
  • 헥타르당 평균 1,500~3,000kg 정도 수확, 로부스타보다 작은 수확량
  • 충분한 강우량 + 높은 일조량 
  • 대표적 품종 : 버본, 티피카 
  • 카페인 함량은 1~1.7% 로 비교적 낮은 편

 

② 로부스타 (카네포라) 품종

  • 19c 콩고 바신에서 처음 발견, 병충해에 강하고 성장이 빠름
  • 800m 이하의 비교적 낮은 지역에서 재배
  • 손쉬운 재배, 20c 급속도로 성장, 세계 커피 25% 점유
  • 대표적 품종 : 로부스타, 코닐론
  • 10m 이상의 나무 높이, 카페인 함량 2~3%, 거칠고 강한 쓴 맛
  • 인스턴트 커피, 캔 커피 제조에 사용
  • 병충해에 강하고 24~30℃ 고온에서 생장
  • 저항력이 강해서 높은 생산성

③  교배 품종들

  • 티피카 : 아라비카 원종, 녹병에 약함, 상큼한 레몬, 꽃 향기
  • 버본 : 센터컷이 S자 형태, 높은 수확량, 와인과 비슷한 풍미
  • 카투라 : 브라질 돌연변이 품종, 높은 생산성, 상큼한 신맛
  • 문도노보 : 버본과 티피카의 교배종, 병충해에 강함, 환경 적응력이 좋고, 브라질 주력 품종
  • 카투아이 : 문도노보와 카투라의 교배종, 병충해에 강함
  • 마라고지페 : 비정상적으로 큰 코끼리 빈, 브라질 원산지
반응형

'about coff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원두의 조건  (0) 2022.11.07
원두의 가공 과정과 가공 방식  (0) 2022.11.06
원두의 재배 환경과 수확 방법  (0) 2022.11.05
동서양의 커피 문화  (2) 2022.11.04
커피의 기원  (0) 2022.11.03

+ Recent posts